반응형

전체 글 200

슈퍼 개미, 주식 농부 박영옥 님의 이야기

대한민국이 낳은 대표적인 슈퍼 개미 박영옥씨. 현재 투자회사 '스마트인컴'의 대표이며 자신을 '농부'에 비유하는 주식 농부이다. 오늘 인물 열전에는 오랜만에 한국인 투자자를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박영옥 님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1998년 중앙대 경영학교 졸업 (82학번)현대투자연구소, 대신증권, 국제투자자문 펀드매니저1997년 교보증권 압구정지점장2001년 전업투자 시작2005년 투자회사 ‘스마트인컴’을 설립 현) 스마트인컴 대표현)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중앙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애널리스트로 활동하였고 1997년 36세의 나이로 교보증권 압구정 지점장으로 역임했다.(ㄷㄷㄷ) 그러나 영광도 잠시....1997년에 외환위기가 터지며 그가 투자한 주가들이 폭락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의 차이점은?

한국 기업에 투자할 때, 초보 주식 투자자들은 코스피? 코스닥? 이라는 용어에 헷갈릴 때가 있다. 둘다 한국의 주식 시장인데 뭐가 다른거지? 지금부터 살찐 다람쥐가 코스피, 코스닥에 대해 설명하고 차이점에 대해 말해보겠다. 코스피(KOSPI)란 무엇인가? 한국종합주가지수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지수.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투자자의 경우, '대한민국 제1 증권시장'이라는 의미로 유명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굵직굵직한 대기업은 거의 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코스피 상장 기업들이다. 코스피에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하려면 상장예비심사를 청구수수료 500만원을 납부해야한다. 코스피의 가격제한폭은 상하..

나스닥(NASDAQ)이란?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뉴욕 월가에 위치한 미국 주식시장 중의 하나(다른 하나는 NYSE). 세계 시가총액 2위의 증권시장이다(물론 독보적인 1등은 미국의 또다른 주식시장, NYSE). 1971년 2월에 창립. 미국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쉽게 하기 위해 시스템을 갖추고 창설되었다고 한다. 초창기 IT계열 벤처기업들을 위해 만들어진 증권시장답게 현재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랭크되어 있는 기업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등등. 90년대 당시 IT 버블이 불면서 주가도 엄청나게 상승, 세계적으로도 나스닥의 성공을 보고 이와 유사한 증권시장을 세운다. ..

시총 2위 싸움, 삼성바이오로직스 vs SK하이닉스

한국증권시장인 코스피에서 시총 1위 기업은 누가 머래도 '삼성전자'이다. 머 이건 이견이 없다고 할 수 있겠지만... 대한민국 시총 1위 기업,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시총 1위를 차지하고 한국 시장에서 절대적인 규모로 성장한 이후, 시총 2위는 SK텔레콤, 한국전력, 국민은행, 포스코, 현대차, SK하이닉스 순으로 바뀌어왔다. 1위 삼성전자가 너무 독보적으로 크기 때문에 오히려 2위 싸움이 치열했으며 2위 기업이 당대의 대한민국 대표성장산업의 지표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해왔다. 근 몇년간 2위 자리를 굳건히 고수해온 'SK하이닉스'에서, 바로 오늘 8월 20일 '삼성바이오로직스'로 2위 타이틀이 넘어간 것이다. 새로이 시총 2위로 등극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원인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분기 엄청난 실적 호조와..

나이키 알파플라이, 기술도핑인가?

2019년 10월 12일, 오스트리아 빈 프라터 파크에서 열린 ' 'INEOS 1:59 챌린지'에서 세계 최고기록 보유자 엘리우드 킵초게는 42.195km 마라톤에서 2시간대의 벽을 허물고 1시간 59분 40초만에 완주했다. Breaking 2hours 를 성공시키기 직전의 엘리우드 킵초게 2020/08/09 - [스포츠] - 마라톤이란 무엇인가? 하지만 이 대회는 세계 육상연맹에서 주최하는 공식 대회도 아니었고 페이서 41명과 레이저 표시선을 이용하는 등, 최적의 조건을 바탕으로 세운 기록이라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킵초게가 기록을 세우게 된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당시 킵초게가 신던 '나이키 알파플라이'라는 신발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 킵초게도 이를 어느정도 인정하는 발언을 하였는데..

주식 분할(Stock Split)이란??

애플과 테슬라에서 이번에 주식분할(미국은 '액면가'라는 개념이 없다. 주식분할이 맞는 말이다.)을 발표했다. 8월 말을 기준으로 애플의 주식은 1/4로 쪼개지며 테슬라 역시 1/5로 분할된다. 주식분할이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 그리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오늘 살찐 다람쥐가 파헤쳐보겠다. 주식 분할이란? 한마디로 주식 자체를 여러개로 쪼갠다는 뜻이다. 예를들어 100$짜리 주식 1주를 1/2 주식분할을 한다면 50$짜리 주식 2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주식 총 가격에는 변함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체 가치에도 변함이 없고 기업 자본에도 변함이 없는 주식 분할을 기업에서는 왜 하는 것일까?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면 주가도 상승한다. 그런데 주가가 일반인들이 매입하기에 너무 올랐다고 가정..

애플(AAPL)에 대한 기업 분석

살찐 다람쥐가 포스팅하는 첫 해외 주식!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도 TOP을 달리는 기업! 설명하겠다 했으면서도 말이 필요 없는 주식! 오늘은 세계 최대 기업인 애플에 대해 주식 투자자로서의 관점에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애플 본사의 사옥(우와아아아아아아아!!!!!) 살찐 다람쥐에게 애플이란? 가장 선호하는 전자제품이 애플 제품이다. 노트북의 경우는 2012년에 산 LG X NOTE를 쓰고 있지만(살찐 다람쥐는 한번 사면 오래 쓰는 편이다.) 핸드폰, 무선 이어폰의 경우는 아이폰, 에어팟을 사용하며 아이패드 사용을 선호한다. (에어팟은 저 세상으로 가셨으며, 아이패드는 동생에게 증여) 애플에서 출시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 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은 대부분 맥북을 사용할 정도로 활용가치가 높으며 디지털 노..

항우의 역습, 팽성대전

한창 초나라와 한나라가 세력을 다투던 BC 205년, 현재의 쉬저우 부근에서 벌어진 유방의 한군과 초나라 군대가 맞닥뜨린 전투. 유방의 56만 군대는 항우의 팽성을 점령하였고 이에 항우는 3만의 군대를 이끌고 나가 무려 19배의 전력차를 극복하고 승리한 전투. 그리하여 항우를 다시금 중원 최강의 사나이로 각인시킨 전투로 남은 사건이다. 오늘 살찐 다람쥐는 항우라는 위대한 남자를 중심으로 팽성대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진나라의 몰락과 각지의 영웅의 탄생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는 시황제를 중심으로 철권 통치를 감행하여 각 지역을 억압하였고 그 뒤를 이은 호해가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진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결국 진승, 오광의 난을 시작으로 각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결국 중국은 군웅할거의 시대로..

미국 주식은 과연 좋은 점만 있을까?

필자는 이전에 미국 주식의 장점에 대한 주제로 포스팅을 올렸었다. 세계시장의 중심이 미국이니 그만큼 장점이 많을 수밖에.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는 법! 굳이 살찐 다람쥐가 미국주식의 장점을 올리고 또 단점을 쓰는 이유는 단점에 대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켜 여러분의 부를 안정적으로 축적하라는 뜻이지 단점을 강조하여 미국주식에 손도 대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2020/08/14 - [경제 & 금융] -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그렇다면 한국주식에 비해 미국주식이 가진 단점은 무엇일까? 1. 비싸다. 그렇다! 비싸다. 한국에 비해 너무 비싸다. 용돈이나 종잣돈으로 투자하기에는 턱없이 비싼 경우도 많고 심지어 1주당 가격이 필자가 살고 있는 영종도 아파트 한 채 값 (3억 이상)을 상회하는 주식..

우선주(Preferred Stock)란 무엇인가?

우선주(Preferred Stock). 보통주에 비해서 배당과 같은 특정한 우선권을 가진 주식을 말한다. 하지만 보통주를 보유시,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갖을 수 있는 대신에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다. 한국 주식시장인 코스피(KOSPI)의 경우, 기업명 뒤에 '우'를 붙여 우선주임을 표시한다. 삼성전자우, LG생활건강우 이런식으로 말이다. 가끔 1우, 2우B, 3우B 이런식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발행순서를 뜻하며 숫자가 클수록 나중에 발행된 주식이다. 소정 비율의 우선배당을 받고도 이익이 남을 경우 보통주와 더불어서 추가적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참가적 우선주, 없으면 비참가적 우선주, 당해 영업 연도에 소정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할 경우 다음 영업연도에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누적적 우선주, 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