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실이의 "스포츠" 바구니/[투기종목] 6

중국 무술이 현대 격투기에서 힘을 못쓰는 이유

현재 3~40대 이상의 연령대인 분들은 대부분 중국(특히 홍콩) 영화를 보며 자라왔을 것이다. 중화권 영화를 보면 무도가들이 하늘을 날며 현실에서는 따라 하지도 못할 동작들을 선보이며 상대방을 타격하는 것을 보여준다. 필자도 그런 중국영화들을 보며 눈이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다. 그렇다면 필자가 좋아하는 MMA에 중국 무도가들을 투입시켜보면 어떨까? 중국 무도가들이 UFC의 옥타곤을 휩쓸지 않을까?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했지만 결과는... 실제로 쉬샤오둥이라는 중국격투가(본인 스스로 1류 격투가가 아니라고 했다. 당시 나이도 불혹이 넘은 시기)가 중국무술들은 허상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분개한 몇몇 중국무도가들이 쉬샤오둥에게 도전했으나 모두 처참하게 패배했다. 앞서 말했듯이 쉬샤오둥은 초일류 격투가가 아니다...

하빕과 같은 다게스탄 사람들이 강한 이유

UFC는 현재 세계 최고의 격투가들이 모여있는 단체이다. 자연스레 본고장인 미국을 비롯하여 북남미,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와 같은 전 세계의 강자들이 즐비하는 곳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유난히 특정 지역 출신들의 파이터들이 두드러지는데 바로 '-스탄'으로 끝나는 국가 출신들의 파이터들이다. 특히나 얼마전에 은퇴를 선언한 라이트급 챔피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의 나라 '다게스탄'이라는 나라에 대해 주목받고 있는데 이 나라는 도대체 어떤 나라길래 저런 하빕과 같은 극강의 챔피언을 배출해내었을까? 살찐 다람쥐가 다게스탄이라는 나라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 UFC 라이트급 극강의 챔피언,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다게스탄 사람들이 강한 이유들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살찐 다람쥐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을 꼽겠다. 산지로 구성..

스포츠에 최적화된 종족, 사모아인이란?

스포츠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인종은.....농구에서 미국계 흑인, 수영에서 백인으로 각인된다. 하지만 인구 20만 가량으로 세계 각국에서 피지컬만으로 무대를 휩쓸고 있는 종족이 있다면 바로 단연코 '사모아인'을 들 수 있다. 사모아인이 도대체 어떤 종족이길래 이런 활약들을 펼치는지 살찐 다람쥐가 조명해보겠다. 사모아인이란? 우선 사모아인은 오세아니아 지역에 있는 서사모안 독립국 사람들 혹은 그 인근 지역의 일부 뉴질랜드 사람들을 말한다. 머 대체적으로 평균체격이 이렇다 카더라... 는 좀 과장일지라도 평균적으로 뼈대가 엄청 두껍고 체격이 거대한 것은 분명하다. 심지어 이런 여자들도 있으니... 그렇다면 역사적으로는 어떤 민족이었을까? 이들은 19세기까지만 해도 신석기 문명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파투를..

UFC 역사상 흑인 헤비급 챔피언이 적은 이유?

필자는 투기 종목 매니아이다. 복싱부터해서 종합격투기까지. 무수히 많은 챔피언들이 바뀌고 또 바뀌는 것을 봐왔다. 복싱 시장은 전통적으로 흑인이 지배하고 있다고(카지만 필자는 동의 못하겠다. 경량급부터해서 헤비급도 동구권을 중심으로 상당수의 백인 챔피언들이 존재하고 클리츠코 형제부터 타이슨 퓨리까지 백인 헤비급 챔피언도 많아 보인다.) 하고 각종 스포츠에서 흑인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종목 중 하나인 종합격투기에서 유독 흑인 헤비급 챔피언은 찾아보기 힘들다. UFC 헤비급 역사를 통틀어 봐도 21대 챔피언인 스티페 미오치치까지 흑인 챔피언은 단 3명, 모리슨 스미스, 케빈 랜들맨 그리고 다니엘 코미어(정상적으로 올랐다고 보긴 힘들지만) 뿐이다. 게다가 과거 프라이드 ..

MMA에서 레슬링의 위상은 어느정도인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유래된 레슬링의 역사성에 대해서는 너무나 장황하니 이 포스팅에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다만 현대 종합격투기에서 레슬링이 얼마나 유용한 무술이며 위상이 어느정도 되는지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MMA 4대 필수 무술로 손꼽힌다. 무에타이, 브라질리언 주짓수, 복싱과 더불어 종합격투가로서 꼭 배워야하는 4대 필수과목이다. 특히나 2010년대 들어 더더욱 레슬링을 기반으로 하는 파이터가 많아지고 현재 대부분의 챔피언들이 강력한 레슬링 스킬을 장착하고 있다. 레슬링 기반으로 한 저 선수(브록 레스너)의 엄청난 피지컬을 보라! 그렇다면 레슬링 베이스 선수들이 활약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크게 3가지로 손꼽을 수 있다. 첫째, 레슬러들의 경우 클린치와 태클 싸움에서 ..

브라질이 격투기 강국인 이유!

브라질의 챔피언 급 선수들(좌로부터 앤더슨 실바, 조제 알도, 비토 벨포트) 앤더슨 실바, 조제 알도, 반더레이 실바, 마우리시우 쇼군 후아, 헤난 바라오, 료토 마치다, 하파엘 도스 안요스,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에다가 최근 여성부를 주름잡고 있는 아만다 누네즈까지, 브라질은 격투 단체에서 엄청나게 많은 챔피언들을 배출해왔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격투선수를 보유한 두 나라를 꼽는다면 단연코 미국과 브라질이다. 미국이야 워낙 인구도 많고 각종 스포츠 산업이 발달했으며 세계 격투기의 중심 단체인 UFC를 보유한 나라니깐 그렇다 쳐도 인구 1억 남짓의 브라질에 유독 미국에 버금갈 정도로 많은 선수들이 배출된다.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1. 인종적 이유 일단 인종적 이유가 있다..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