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실이의 "스포츠" 바구니/[축구] 6

프랑스가 끊임없이 축구 유망주를 배출하는 이유

프랑스가 축구 유망주를 끊임없이 배출하는 이유는 단순히 "축구를 잘한다" 수준을 넘어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시스템과 문화적 요소, 사회적 배경 등이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야. 아래에 핵심적인 이유들을 정리해봤어:1. 🇫🇷 국가 주도의 유소년 아카데미 시스템프랑스는 1970~80년대부터 축구 유망주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 주도의 유소년 육성 시스템을 구축했어.대표적인 예: 클레르퐁텐(Clairefontaine) 아카데미→ 프랑스축구협회(FFF)가 운영하는 엘리트 유소년 육성소.→ 티에리 앙리, 은골로 캉테, 킬리안 음바페 등 배출.이 외에도 프랑스 전역에 13개의 지역 기술 센터가 있어 어린 선수들을 조기에 선발, 교육하고 있어.2. 🏙️ 다양한 민족적 배경과 거리 문화프랑스는 다..

프랑스 축구 대표팀에 인재들이 끊임없이 나타나는 이유

이전에 필자는 월드컵에서 항상 특정 국가들 사이에서 우승국이 배출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물론 그 원인은 그들만의 잘 발달된 축구 인프라이자 축구에 대한 열정임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2022.12.20 - [다람쥐의 "지식" 주머니] - 월드컵 우승국들이 특정 국가들에서 나오는 이유 월드컵 우승국들이 특정 국가들에서 나오는 이유 얼마 전,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성황리에 종료되고 최종 우승국은 메시가 이끄는 아르헨티나로 확정되었다. 1930년 제1회 우루과이 대회에서 우루과이가 첫 우승을 달성한 이래, 통틀어서 총 79 huni1013.tistory.com 그런데 최근 메이저 대회 전적을 보면 프랑스가 2016년 유로 준우승에 이어 2018 월드컵 우승, 그리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의 준우승..

월드컵 우승국들이 특정 국가들에서 나오는 이유

얼마 전,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성황리에 종료되고 최종 우승국은 메시가 이끄는 아르헨티나로 확정되었다. 1930년 제1회 우루과이 대회에서 우루과이가 첫 우승을 달성한 이래, 통틀어서 총 79개국이 참가했다. 전 세계 피파 회원국이 211개인 것을 감안하면 아직 월드컵 참가를 경험해 본 국가들이 1/3밖에 되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총 21회의 월드컵에서 우승을 한 국가는 총 8개국밖에 되지 않는다. 첫 우승국인 우루과이 2회를 포함하여 브라질 5회, 이탈리아와 독일 4회, 이번에 아르헨티나 3회, 프랑스 2회, 잉글랜드와 스페인이 1회씩 우승을 차지하였다. 거의 우승을 하는 국가들만 계속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도 세계인들의 축제, 월드컵에서 말이다. 그렇다면 이들 국가들에게는 우승을 못한 국가들과..

한국축구가 더이상 일본의 상대가 되지 않는 이유

다가오는 11월, 대망의 카타르 월드컵이 약 3달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최근 한국은 일본과 동아시아 축구연맹 E-1 챔피언십 매치를 가졌는데 안타깝게도 3:0으로 패배하고 말았다. 그런데 3:0 결과, 어딘가 익숙하지 않은가? 최근 한국 축구는 전 연령대에 걸쳐서 일본에게 3:0으로 연속적으로 패배했기 때문이다. U-16 대표팀의 3:0 패배, U-23 대표팀의 3:0 패배, 작년 A 대표팀의 3:0 패배에 이어 올해도 3:0으로 결과를 마무리지었다. 이쯤 되면 징크스라기 보다도 기본적인 실력의 문제가 아닐까? 오늘은 살찐 다람쥐가 한국 축구는 왜 일본 축구에게 밀릴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역대 한일전 A매치 전적으로만 보면 42승 15패로 우리가 월등히 앞서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스포츠 강국, 미국이 축구에 약한 이유?

자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덩달아 발전하는 분야, 바로 '스포츠'이다. 그리고 '스포츠'하면 떠오르는 나라는 단연코 '미국'으로 손꼽는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세계에서 가장 대중화된 스포츠이자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누가 뭐래도 단연코 축구(Soccer)이다. 그런데 미국 주요 스포츠 중에는 (미식축구 아닌) 축구가 없다. 물론 엄청난 인구와 스포츠 인프라를 보유한 미국 축구 대표팀이 절대 약체는 아니다. 엄연히 1994년도에 월드컵을 훌륭히 치렀고 1990년부터 2014년까지 7회 연속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2년에는 한국과 비기고 조별예선을 통과하여 8강이라는 성과를 이루었다. 그런데.... 다른 스포츠가 워낙 압도적이다 보니 미국축구가 부각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스포츠에서 미국의 위용..

남미 국가들이 축구에 강한 이유!

세계 축구의 중심은 어디인가? 누가 뭐래도 '유럽'이라고 할 것이다. 막강한 인프라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세계 축구의 중심이 되었고, 또한 다른 대륙의 인재들을 끌어모으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럽과 양대산맥을 이루며 오히려 인재풀에 대해서는 밀리지 않는 대륙이 있는데 바로 '남미'이다. 월드컵 역대 최다 우승국 브라질(5회)과 그와 쌍벽을 이루는 남미의 거물 아르헨티나(2회)가 쌍두마차로 버티고 있고 그 외에도 콜롬비아,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유럽 축구 강호들 못지 않은 강국들이 즐비하며 역사적으로 뛰어난 인재들을 배출했고 이들을 나열하자니 입만 아프다. 도대체 유럽에 비해 자본력도 부족한 남미 국가들이 왜 이렇게 축구에 강하고 뛰어난 인재들이 많이 배출될까? 살찐 다람쥐가 알아보았다. 1. 사실..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