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실이의 "부자" 이야기/[경제 상식]

주식용어에 대해 알아볼까? 'PSR' 이란?

살찐 다람쥐 "토실이" 2025. 4. 13. 14:52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실이에요 🐿
이번엔 주식 고수들도 은근히 놓치는 PSR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 PSR이 뭐예요?

PSR = 시가총액 ÷ 매출
한 마디로 *“이 기업은 매출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싸냐?”*를 알려주는 지표예요!

  • 시가총액 = 그 회사를 통째로 살 때 드는 비용
  • 매출 = 1년 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총 매출액

🐿️ 예를 들어, 치킨집 하나를 사고 싶은데,
월매출 2000만 원인데 3억 원을 달라고 하면...
“매출 대비 너무 비싸다!” 느낄 수 있겠죠?


✨ PSR 낮은 게 좋은 거야?

보통은 PS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일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단순히 낮다고 해서 무조건 싸거나 좋은 기업은 아니에요.

📝 PSR 분석할 때 꼭 봐야 할 것들!

  1. 업종 – 마진율이 중요한 업종은 PSR이 높게 나올 수 있어요
    • 예: 네이버, 카카오 (매출 대비 순이익 많음)
    • 반면: 조선, 건설은 매출은 큰데 마진은 낮음 → PSR 낮음
  2. 마진율 – 매출만 많고 이익이 적으면 의미가 없어요!
  3. 성장 기대감 – 미래 기대치가 반영되면 PSR이 높아져요
    (이 회사는 곧 빅잭팟 터진다! 🚀 이런 느낌)

🧠 토실이의 한줄 정리!

PSR은 “매출 대비 얼마짜리 기업인가?” 보는 좋은 지표지만,
반드시 업종, 마진, 성장성, 재무 건전성까지 같이 봐야 진짜 저평가 주식을 찾을 수 있어요!


다음 편에서는 또 다른 지표로 돌아올게요!
“놀면 뭐하니, 주식공부하자!” 시리즈 계속 기대해주세요 🐿💼
궁금한 지표가 있다면 언제든 댓글 남겨줘요!

💸 오늘도 현명한 투자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