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하는 다람쥐 토실이예요 🐿️
오늘은 주식 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할
기업 분석의 첫걸음,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투자 전 제일 먼저 확인할 것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이 기업, 괜찮은 회사야?”를 판단하는 거예요.
그걸 알아보려면요,
✅ 돈은 잘 벌고 있는지
✅ 빚은 얼마나 되는지
✅ 현금 흐름은 안정적인지
이 세 가지를 꼭 체크해야 해요.
이 모든 게 담긴 보고서가 바로
📄 손익계산서
📄 재무상태표
📄 현금흐름표, 이 세 가지랍니다!
🔍 네이버에서 재무제표 쉽게 찾기
어렵게 느껴지신다고요? 걱정 마세요!
네이버 금융에서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1️⃣ 네이버에 기업명 검색
2️⃣ 주가 차트 클릭
3️⃣ ‘종목분석’ → ‘재무분석’ 클릭
여기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볼 수 있답니다 😊
📈 손익계산서: 이 회사, 돈은 잘 버니?
손익계산서는 기업이 얼마 벌고 얼마 썼는지 보여줘요.
- 매출액: 팔아서 번 전체 금액
- 영업이익: 장사해서 남긴 돈
- 당기순이익: 세금 등 다 빼고 진짜로 남은 순이익
이 세 가지가 해마다 늘어난다면 이 기업은 성장 중!
토실이는 이런 기업을 눈여겨본답니다 👀
🏦 재무상태표: 자산과 빚의 균형
다음은 기업의 재산 상태표예요!
- 자산 = 자본 + 부채
-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 바로 순수한 자본이에요.
예를 들어,
5억짜리 아파트를 샀는데 1억은 대출, 4억은 내 돈이면
👉 자산: 5억, 부채: 1억, 자본: 4억
이걸 기업 기준으로 보는 거예요!
그리고 꼭 확인할 것!
💣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 100% 이하 → 안정적
- 200% 이상 → 주의
- 600% 이상 → 매우 위험! ❌
💵 현금흐름표: 진짜 돈이 들어오고 있나요?
현금흐름표는 회계 말고 진짜 현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여줘요.
- 영업활동 현금흐름: 장사해서 들어온 돈
- 투자활동 현금흐름: 공장 짓고 설비 투자 등
- 재무활동 현금흐름: 대출, 자본금, 배당 등
정상적인 기업이라면
👉 영업현금은 플러스, 투자와 재무는 마이너스가 자연스럽답니다.
워렌 버핏도 이 표를 가장 중요하게 본다고 해요!
🧮 가치 평가 지표도 꼭!
📊 네이버 투자지표 탭을 누르면
PER, PBR 같은 지표들이 쭈르르 나와요.
처음엔 낯설지만 토실이랑 같이 보면 금방 익숙해져요!
- EPS: 주당 벌어들이는 이익
- PER: 본전 회수까지 몇 년? (낮을수록 좋아요)
- PBR: 자본 대비 주가 수준 (1보다 높으면 고평가)
- EV/EBITDA: 회사를 인수했을 때 본전 회수 연수
- 배당성향: 이익 중 주주에게 돌려주는 비율
🐿️ 토실이의 조언 한마디!
처음부터 복잡한 수치에 겁먹지 마세요.
이 세 가지만 기억해요.
1️⃣ 이익이 꾸준히 늘고 있나요?
2️⃣ 부채비율이 너무 높지는 않나요?
3️⃣ 현금흐름이 건강한가요?
이 세 가지만 봐도
망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피할 수 있어요.
그리고 "괜찮은 기업이네?" 싶으면,
서둘러 투자하기보다는
📚 정밀 분석도 해보고
⏳ 충분히 고민한 다음 확신이 생겼을 때
투자를 결정하는 게 좋아요!
🧡 오늘의 한 줄 요약
“좋은 기업은 재무제표에 다 담겨 있어요.”
숫자 속에서 기회를 찾는 훈련, 토실이랑 같이 해요 😊
다음엔 더 쉽고 재미있는 투자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그럼 오늘도 안전한 투자 하시고,
우리 또 만나요! 안녕~ 🐿️👋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에 대해 알아볼까? 'PSR' 이란? (0) | 2025.04.13 |
---|---|
📈 주식용어에 대해 알아볼까? 'PER' 이란? (0) | 2025.04.13 |
공포지수로 불리는 VIX 지수란? (0) | 2025.04.10 |
시장 공포를 가늠하는 잣대, VIX 지수란? (0) | 2022.02.05 |
[경제 용어] EV/EBITDA -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지표? (1)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