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실이의 "부자" 이야기/[경제 상식] 27

행동주의 투자(Activist Investment)란?

행동주의 투자란? 지배구조가 정상적이지 못하거나 비효율적일때 지분을 대략 매입하여 사업전략 변화나 구조조정, 지배구조 변화를 유도헤 기업 가치를 높혀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를 말한다. 기업의 가치가 오를 때까지 꾸준히 기다리지 않고 기업 경영에 적극 참여하여 단기간에 기업 가치를 끌어올려 행동주의(Activist)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 투자자 - 빌 애크먼 소액 개미투자자에게는 이런 투자자들이 반가운 경우가 많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알아서 배당금도 올려주고 주가도 올려주기 때문에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바로바로 행동으로 실현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헤지펀드와의 경쟁이 벌어지면 양측간 지분 매입 경쟁이 벌어져 주가가 상승하고 기업 경영이 투명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부풀어 오른다. 하지만 부..

미국의 주가지수(S&P 500, 다우지수, 나스닥 지수)에 대해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크게 3가지 지수가 사용된다. S&P 500, 다우지수, 나스닥 지수. 이 용어들은 어떨 때 쓰이는지 알아보자. S&P 500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Standard & Poor's에서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지수와 함께 미국의 3대 주가지수로 불리며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대표지수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 상장된 주식 중 미국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주가지수이다. 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기준 지수는 100이었다. 당시에는 뉴욕증권거래소만 있었기 때문에 이 중에서 대형주를 추려냈으며 나스닥 출범 이후에는 나스닥 대형주들도 포함되기 시작했다. 개별 선물과 옵션 상품이 있으며 나스닥 100 선물, 다우존스..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의 차이점은?

한국 기업에 투자할 때, 초보 주식 투자자들은 코스피? 코스닥? 이라는 용어에 헷갈릴 때가 있다. 둘다 한국의 주식 시장인데 뭐가 다른거지? 지금부터 살찐 다람쥐가 코스피, 코스닥에 대해 설명하고 차이점에 대해 말해보겠다. 코스피(KOSPI)란 무엇인가? 한국종합주가지수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지수.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투자자의 경우, '대한민국 제1 증권시장'이라는 의미로 유명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굵직굵직한 대기업은 거의 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코스피 상장 기업들이다. 코스피에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하려면 상장예비심사를 청구수수료 500만원을 납부해야한다. 코스피의 가격제한폭은 상하..

나스닥(NASDAQ)이란?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뉴욕 월가에 위치한 미국 주식시장 중의 하나(다른 하나는 NYSE). 세계 시가총액 2위의 증권시장이다(물론 독보적인 1등은 미국의 또다른 주식시장, NYSE). 1971년 2월에 창립. 미국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쉽게 하기 위해 시스템을 갖추고 창설되었다고 한다. 초창기 IT계열 벤처기업들을 위해 만들어진 증권시장답게 현재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랭크되어 있는 기업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등등. 90년대 당시 IT 버블이 불면서 주가도 엄청나게 상승, 세계적으로도 나스닥의 성공을 보고 이와 유사한 증권시장을 세운다. ..

주식 분할(Stock Split)이란??

애플과 테슬라에서 이번에 주식분할(미국은 '액면가'라는 개념이 없다. 주식분할이 맞는 말이다.)을 발표했다. 8월 말을 기준으로 애플의 주식은 1/4로 쪼개지며 테슬라 역시 1/5로 분할된다. 주식분할이란 무엇이며 왜 하는 것일까? 그리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오늘 살찐 다람쥐가 파헤쳐보겠다. 주식 분할이란? 한마디로 주식 자체를 여러개로 쪼갠다는 뜻이다. 예를들어 100$짜리 주식 1주를 1/2 주식분할을 한다면 50$짜리 주식 2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주식 총 가격에는 변함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체 가치에도 변함이 없고 기업 자본에도 변함이 없는 주식 분할을 기업에서는 왜 하는 것일까?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면 주가도 상승한다. 그런데 주가가 일반인들이 매입하기에 너무 올랐다고 가정..

우선주(Preferred Stock)란 무엇인가?

우선주(Preferred Stock). 보통주에 비해서 배당과 같은 특정한 우선권을 가진 주식을 말한다. 하지만 보통주를 보유시,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갖을 수 있는 대신에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다. 한국 주식시장인 코스피(KOSPI)의 경우, 기업명 뒤에 '우'를 붙여 우선주임을 표시한다. 삼성전자우, LG생활건강우 이런식으로 말이다. 가끔 1우, 2우B, 3우B 이런식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발행순서를 뜻하며 숫자가 클수록 나중에 발행된 주식이다. 소정 비율의 우선배당을 받고도 이익이 남을 경우 보통주와 더불어서 추가적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참가적 우선주, 없으면 비참가적 우선주, 당해 영업 연도에 소정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할 경우 다음 영업연도에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누적적 우선주, 보상..

경제 상식! 여수신이란?

은행 여수신이란?은행 여수신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여신과 수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야합니다. 따라서 여신과 수신이 무엇을 뜻하는지 살펴본 뒤에 은행 여수신의 의미를 파헤쳐 보겠습니다. 1.여신의 의미여신(與信)은 신용을 준다는 뜻입니다. 믿을 신(信), 줄 여(與)자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여신은 무슨 뜻일까요? 돈을 거래하는데 있어 누군가를 믿는다면 우리는 기꺼이 대출을 해줄 수 있습니다. 믿는데 돈을 못 빌려줄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여신이란 은행이 우리에게 해준 대출을 뜻합니다. 여신 전문 은행권: 카드회사, 할부금융회사, 창업투자회사, 대부회사 2.수신의 의미 수신(受信)은 신용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믿을 신(信), 받을 수(受)자로 이루어진 글자죠.그렇다..

반응형